Linux2015. 8. 19. 11:24


GMediaRender는 UPnP media render중 하나이며 UPnP media server로부터 media content(video, audio, image)를 재생한다. 


UPnP A/V 는 3티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.

Server, Renderer, Controller


UPnP controller로 UPnP Renderer에 UPnP Server의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명령을 내릴수 있다.


GMediaRenderer는 다음 3가지 디펜던시가 있다.

1. GNU C Compiler(gcc), 2.95 or later

2. libupnp 1.6.0 or later(BSD license)

3. GStreamer 0.10(LGPL)

그 외 GNU/Linux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UPnP A/V 관련 오픈소스 프로젝트들

A/V Content Servers

- MediaTomb

- GeeXboX uShare

- GMediaServer

_ Cidero Internet Radio Server


A/V Content Renderers

- GMediaRender

- djmount

- Compère - Coherence-based media renderer

UPnP-Control for Mplayer

- A/V Content Controllers


Cidero Media Controller

- gUPnP universal control point (part of gupnp-tools)








Posted by 삼스
Mac world2015. 7. 14. 16:09



윈도우와 맥에서 모두 읽기 쓰기가 가능한 포맷은 NTFS이며 맥에서는 별도 소프트웨어의 힘을 빌려서 쓰기까지 가능하다. 

아래 순서대로만 따라하자.

진작에 알았더라면.. ㅎㅎ;;


1. FUSE for OSX  설치

2. NTFS-3G 설치

NTFS-3G설치시에는 ‘설치 유형’에서 하단에 ‘사용자화’라는 버튼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, ‘Install Type’ -> ‘MacFuse’ 옵션을 체크 해제해야 한다.

3. FUSE-wait  설치

4. 리부트.


추가

위 구성에서 엘캐피탄 업그레이드 후 쓰기가 안되는 경우 다음과정으로 진행

1. Paragon NTFS 14 설치

2. 터미널에서 sudo nano /etc/fstab 실행

3. LABEL=DRIVE_NAME none ntfs rw,auto,nobrowse 입력 후 저장

DRIVE_NAME은 공백이 들어가면 안되며 NO NAME의 경우 NO\ NAME으로 입력해야 한다.




Posted by 삼스
Android2015. 5. 29. 11:21


사내에서 공통으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들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임포트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. 이 경우에 대한 가이드이다.

nexus repository가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.

절차는 다음과 같다.

1. 라이브러리 프로젝트에서 라이브러리를 사내 메이븐레포지트리에 등록한다.

uploadArchives {

    repositories {

        apply plugin: 'maven'

        mavenDeployer {

            repository(url: "http://localhost:8000/nexus/content/repositories/snapshots") {

                authentication(userName: "userid", password:"userpassword")

            }

            pom.version = "1.0-SNAPSHOT"

            pom.artifactId = "mylib"

            pom.groupId = "com.t5online"

        }

    }

} 


2.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프로젝트에서 사내 레포지트리를 추가한다.


buildscript {

    repositories {

        jcenter()

        maven {

            url "http://localhost:8000/nexus/content/groups/public"

            credentials {

                username 'userid'

                password 'userpassword'

            }

        }

    }

    dependencies {

        classpath 'com.android.tools.build:gradle:1.1.0'

    }

}

allprojects {

    repositories {

        jcenter()

        maven {

            url "http://localhost:8000/nexus/content/groups/public"

        }

    }


3.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프로젝트에서 등록한 라이브러리의 디펜던시를 추가한다.

dependencies {

    compile fileTree(dir: 'libs', include: ['*.jar'])

    compile 'com.android.support:appcompat-v7:22.0.0'

    compile 'com.t5online:mylib:1.0-SNAPSHOT@aar'


위와 같이 진행하면 내부적으로 관리되는 메이븐 저장소의 라이브러리를 등록하고 다른 프로젝트에서 스크립트 수정만으로 라이브러리 디펜던시를 해결할 수 있다.

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다른 라이브러리를 모듈로 임포트를 하면 소스까지 프로젝트로 추가되어 버리는 바람에 라이브러리 수정시 원에 위치의 소스가 관리가 안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하면 원래의 라이브러리는 그 위치에 두고 관리가 되기 때문에 편리한것 같다. 다만 라이브러리 디버깅시가 문제인데 이는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측에서 알아서 지원해주어야 할 문제인 걸로...


* aar은 Android Stdio가 만들어내는 라이브러리형식인데 기존의 ADT에서 생성하는 jar과 다른 점은 resource파일들을 함께 포함한다는것이다. 기존에 jar로 만든 라이브러리가 참조하는 resource가 있는 경우 배포시 jar과 함께 리소스파일을 배포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.




Posted by 삼스